스틱 사용법
산행을 할때 갖추어야 할 3가지는
배낭, 신발, 스틱입니다.
그중에서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귀찮다고 느끼는 스틱에 대하여
등산사이트에서 발췌하여 올립니다.
옛날 나무를 하는 나뭇꾼들이 지팡이가 없었다면
무거운 지게를 지고 일어서는것은 물론 오르,내리막이 많고
지형이 들쑥날쑥한 산중에서 걷는것이 불가능 했을것입니다.
지게를 만들때 지게작대기를 필히 만든것 처럼,
처음 산을 시작할때 배낭을 장만하며 반드시 구입 해야하는것이 "스틱"입니다.
알파인 스키에서 유래된 등산용스틱은 이제는 필수 장비이며 (1개보다 2개로 사용함이 더 효과적입니다) 오히려 없으면 허전해서 산행이 이상할 정도 입니다.
지금은 어느산을 가도 스틱을 사용하는 산객들을 많이 만날수 있으나
태반이 잘못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방법은 자연스럽게 걸을 때 오른발이 나가면 왼팔이 나가고, 왼발이 나가면 오른팔이 나가듯이, 오른발이 나갈때 왼손스틱이 나가고, 왼발이 나갈때 오른손 스틱을 내 짚으면 되는데, 스틱의 스파이크를 발보다 앞에 짚으면 안된다
★ 스틱 구입
스틱은 전문점에서 구입하되 "T"자형은 구입하면 안됩니다.
일자형을 구입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단순한 느낌으로 "T" 자형이 옳다고 생각하기 쉬우며
손바닥으로 "T" 자 윗부분을 누르며 짚고 다닙니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혹은 "T"형과 일자형이 일체로 된것도 있으나 역시 좋지 않습니다.
연세가 드신 분들이 지팡이 용도로 산행중에 사용할때는 "T"형도 가능하나
전문산행이나 종주시나 장거리 트레킹,
또는 무거운 배낭을 메었을때, 무릅을 보호하려 할때 등등..
모두 일자 스틱이 맞습니다.
★ 올바른 사용법
☆ 스틱의 길이조정
신장 170전후는 수치를 130에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르막은 짧게 내리막은 길게 조절하는 것이라는 분도 있지만
그것은 구전으로 전해오는 짐작의 얘기 들입니다.
오르,내리막 모두 길어야 합니다. (중요합니다.)
☆ 스틱 쥐는법
스틱을 쥘때는 손잡이를 꽉잡아 사용하는것이 아닙니다.
손잡이는 적당히 쥐고 손잡이의 줄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고리에 손을 넣을때에는 고리의 동그라미 밑에서 위로 손을 넣어
손바닥안으로 줄을 감싸며 손잡이를 줄과 함께 거머쥡니다.
손잡이로 오는 체중이나 힘의 방향은 손잡이가 아니라 고리로 와야 합니다.
결국 스틱은 고리, 즉 손잡이 줄을 짚으며 사용하는 것입니다.
☆ 평지에서의 스틱 사용법
평지에서는 스틱이 절대로 발보다 앞으로 나가면 안됩니다.
대부분 아무 생각없이 저~ 앞에를 쿡 찍고 걸어 갑니다.
(스틱에 체중이 전혀 실리지 않습니다.)
그러면 등산용 스틱이 아니고 노인용 지팡이가 됩니다.
약 45도 각도로 뒤를 찍으며 그 추진력으로 앞으로 나아갑니다.
약 45도 뒤를 밀어야 썰매가 앞으로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썰매처럼 두팔을 동시에 찍지 않고 발과 맞추어 교대로 찍으며 나아갑니다.
양팔을 콕콕 소리내어 찍어 나가면 힘 하나 안들이고 보행이 됩니다.
☆ 오르막에서의 사용법
오르막에서는 약간 앞쪽을 찍어야 하지만 아주 조금 앞이나
발과 같은 위치일때가 많이 있습니다.
오르막에 들어선 발쪽을 찍으며 스틱에 의지해 일어서듯이 체중을 옮겨 갑니다.
마치 등로에 긴말뚝이 박혀있어 붙잡고 오른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때 팔을 펴면 아무 소용이 없으며 팔을 접고
가슴과 어깨 팔의 근육을 모두 이용해서 누르며
손과 팔을 감아쥐어 엄지가 가슴쪽으로 향하게 하며 체중을 의지함이 좋습니다.
☆ 내리막에서의 사용법
내리막에서도 스틱을 2개 사용하면 계속해서 박혀있는 말뚝을
양손으로 잡고 내려가는것과 같은 효과 입니다.
내리막에서도 발 가까운곳에 확실하게 찍어주며 체중을 의지 하지만
오르막처럼 많은 체중을 실으면 안되고 가볍게 의지하며
만일의 미끄럼에 대비해 스틱을 앞뒤로 벌려가며 사용합니다.
웬만한 바윗길도 손을 안짚고 안전하게 스틱을 이용해서 상쾌하게 갈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약간 어색하지만 한 두번 산행에 꾸준히 손에서 놓지않고 사용하면
드디어 두발이 아닌 네발이 되어 안전하게 산행을 할수 있게 됩니다.
★ 마무리
스틱은 무게의 1/3정도를 덜어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내리막에서도 체중의 분산으로 무릅보호에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배낭에 패킹시에는 안전덮개를 꼭 착용시켜 사람의 눈을 다치게 하거나
기타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등산용 스틱은 북유럽에서 발달한 노르딕 스키기술을
보행기술에 응용하여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스키 폴을 몸 뒤로 밀어줌으로써 스키가 앞으로 미끄러지며 나가는
노르딕 스키의 기술을 스틱에 사용하면 먼 거리를 이동할 때
체중과 배낭의 무게를 분산시켜 체력소모를 줄이고, 속도를 높여 주며,
허리와 무릎 등의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 부상의 위험을 감소시켜 줍니다.
또한 미끄럽거나 불안한 지형에서도 균형을 잡기 쉽고,
위급시 에는 자신을 방호하는 무기나
텐트 폴 혹은 부목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산에서 나무를 하는 나뭇꾼들이 지팡이가 없었다면
무거운 지게를 지고 일어서는 것은 물론 오르막과 내리막이 많고
꼬불꼬불한 산길을 걷는 것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지게를 만들 때 지게작대기를 필히 만든 것처럼,
처음 등산을 시작 할 때 배낭을 구입하면서
반드시 함께 구입해야 할 것이 '스틱'입니다.
2박3일정도의 산행시, 나뭇짐 보다 더욱 무거운 것이 배낭입니다.
스틱의 용도는
- 걸을 시 추진력 향상 및 체력소모 감소
- 비탈길 체중 지탱/균형 유지
- 하산 시 무릎보호
- 빙판길 안전(아이젠 대용)
- 뱀. 야생동물로부터 자기 보호
- 급류, 계곡 횡단시 중심잡기
- 야영(막영)시 텐트/판초 폴대로 사용
- 기타 용도 (텐트 배수로 파기....)등이 있으며,
스틱은 보행 보조구로서의 역할이 가장 큽니다.
곧고 빠르게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무릎과 장딴지, 허벅지,
엉덩이등의 하체의 부상을 예방해 줍니다.
관절이 약한 사람도 스틱을 이용하면 관절에 전달되는 충격을 줄여
통증과 부상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평지를 걸을 때에 대비하여;
- 올라 갈 때는 3배의 하중이 무릎에 전달되며,
- 내려 갈 때는 7배의 하중이 무릎에 전달된다고 합니다.
(하중의 분산에 관해서는 논란이 많은데), 스틱을 제대로 이용하면
다리에 실리는 체중의 30%정도를 팔로 분산시킨다고 합니다.
미국 위스콘신과 매사추세츠 대학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인 걸음걸이를 기준으로 매 걸음마다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의 4.4% 가량을 등산용 스틱이 흡수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적은 양처럼 느껴지지만, 그 충격량을 며칠동안 스틱이 계속 덜어준다면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치 일 것이며, 또한 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신체의 피로감도 줄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단순히 하체의 부담을 덜어줘서가 아니라,
스틱을 이용한 보행이 팔과 다리 등 몸 전체를 유기적으로
사용하는 결과를 낳아 피로가 덜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올바른 스틱 사용법]
산행을 할 때 갖추어야 할 3가지는 배낭, 신발, 스틱입니다.
그중에서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귀찮다고 느끼는 스틱에 대하여
등산사이트에서 발췌하여 나름대로 간결하게 정리하여 올려봅니다.
유익한 정보가 되시길...
★ 스틱 구입
스틱은 전문점에서 구입하되 "T"자형은 구입하면 안됩니다
일자형 또는 손잡이가 약간 휜 것을 구입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단순히 "T" 자형이 옳다고 생각하며
손바닥으로 "T" 자 윗부분을 누르며 짚고 다닙니다
그건 잘못된 생각이고, 방법입니다
연세가 드신 분들이 지팡이 용도로 가벼운 산행시 사용할 때는
"T"형도 가능하나 전문산행이나 종주시, 또는 장거리 트레킹,
무거운 배낭을 메었을 때, 무릎을 보호하려 할 때 등등은
모두 일자나 약간 휜 스틱이 알맞습니다.
★ 올바른 사용법
1 스틱의 길이조정
신장 170전후는 수치를 130에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르막은 짧게 내리막은 길게 조절하는 것이라는 분도 있지만
그것은 구전으로 전해오는 짐작의 얘기 들입니다
오르, 내리막 모두 길어야 합니다. (중요합니다.)
2 스틱 쥐는 법
스틱을 쥘 때는 손잡이를 꽉 잡아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손잡이는 적당히 쥐고 손잡이의 줄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고리에 손을 넣을 때에는 고리의 동그라미 밑에서 위로 손을 넣어
손바닥안으로 줄을 감싸며 손잡이를 줄과 함께 거머쥡니다
손잡이로 오는 체중이나 힘의 방향은 손잡이가 아니라 고리로 와야 합니다
결국 스틱은 고리, 즉 손잡이 줄을 짚으며 사용하는 것입니다.
3 평지에서의 스틱 사용법
평지에서는 스틱이 절대로 발보다 앞으로 나가면 안 됩니다
대부분 아무 생각 없이 저~ 앞에를 쿡 찍고 걸어갑니다
(스틱에 체중이 전혀 실리지 않습니다.)
그러면 등산용 스틱이 아니고 노인용 지팡이가 됩니다
약 45도 각도로 뒤를 찍으며 그 추진력으로 앞으로 나아갑니다
약 45도 뒤를 밀어야 썰매가 앞으로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썰매처럼 두 팔을 동시에 찍지 않고 발과 맞추어 교대로 찍으며 나아갑니다
양팔을 콕콕 소리 내어 찍어 나가면 힘 하나 안들이고 보행이 됩니다.
4 오르막에서의 사용법
오르막에서는 약간 앞쪽을 찍어야 하지만
아주 조금 앞이나 발과 같은 위치일 때가 많이 있습니다
오르막에 들어선 발쪽을 찍으며 스틱에 의지해 일어서듯이 체중을 옮겨 갑니다
마치 등로에 긴 말뚝이 박혀있어 붙잡고 오른다는 생각을 하면됩니다
이때 팔을 펴면 아무 소용이 없으며, 팔을 접고 가슴과 어깨 팔의 근육을
모두 이용해서 누르며 손과 팔을 감아쥐어 엄지가
가슴쪽으로 향하게 하고는 체중을 의지함이 좋습니다
5 내리막에서의 사용법
내리막에서도 스틱을 2개 사용하면 계속해서
박혀있는 말뚝을 양손으로 잡고 내려가는 것과 같은 효과 입니다
내리막에서도 발 가까운 곳에 확실하게 찍어주며
체중을 의지 하지만 오르막처럼 많은 체중을 실으면 안되고
가볍게 의지하며 만일의 미끄럼에 대비해 스틱을 앞뒤로 벌려가며 사용합니다
웬만한 바윗길도 손을 안 짚고 안전하게 스틱을 이용해서 상쾌하게 갈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약간 어색하지만 산행시 꾸준히 손에서 놓지 않고 사용하면
드디어 두발이 아닌 네발이 되어 안전하게 산행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마무리
스틱은 무게의 1/3정도를 덜어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스틱 사용하는 법을 알면 평소 자기 산행실력 1.25~1.5 배가 향상된다고 합니다,
내리막에서도 체중의 분산으로 무릎보호에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배낭에 패킹시에는 안전덮개를 꼭 착용시켜 사람의 눈을 다치게 하거나
기타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퍼온글)
내가 아직 스틱을 사용하지를 않아서 잘은 모르지만
스틱을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쬐금이래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